1. 인터넷 검열의 실태와 우회법
현대 한국의 인터넷 검열 실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2015년 디지털 보안 가이드의 <온라인 검열을 우회하는 방법>을 참고하세요. 윈도우에서 Tor 를 사용하는 방법은 2015년 디지털 보안 가이드의 <윈도에서 토르(Tor) 사용하기>를 참고하세요.
2. 가상 사설 네트워크(Virtual Private Network, VPN)
가상 사설 네트워크의 본래 목적은 인터넷을 통해 사무실 등의 내부에 있는 기기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조직의 사무실 내부에는 조직의 외부에 유출되면 곤란한 정보들이 많을 것이므로, 필요에 의해 잠시 인터넷을 거쳐 사무실 내부의 컴퓨터에 저장된 정보를 열람해야 하는 경우 데이터 전체를 추가적인 방법으로 암호화해야 합니다.
이러한 VPN의 특성은 정부나 통신사 등에 의한 온라인 검열을 우회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국가에서 들어오는 접속을 차단하는 서버가 있을 때, 해당 국가 내부에 마련된 VPN 서버를 경유하면 이러한 차단을 우회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국가 내에서 정부 정책 등의 이유로 통신사에서 특정 서버를 차단하고 있을 때, 외국에 있는 VPN 서버를 사용하면 해당 VPN 서버 자체가 차단되지 않는 한은 이러한 차단도 우회할 수 있습니다.
VPN은 태생적으로 회사나 기관 등의 조직에서 업무를 목적으로 운영하거나, 아니면 상업적 목적 혹은 비영리 목적으로 운영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인터넷 공유기의 기능 중에 해당 인터넷 공유기 자체를 VPN 서버로 만드는 기능도 있어 지인들간의 별도의 암호화된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쓰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VPN 서버를 운영하는 ‘VPN 제공자’들은 VPN 서버를 경유하는 네트워크 활동이 정부나 통신사 등 제3자에 의해 가로채이지 않도록 보호합니다. 하지만 동시에 VPN 제공자들은 VPN 서버를 통해 누가 언제 어떤 웹사이트나 서버에 접속했는지를 기록할 수 있고, 이렇게 기록한 정보를 협박의 용도로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일도 벌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VPN을 사용한다고 해서 반드시 인터넷 검열 우회와 디지털 보안에 도움이 되지는 않을 수도 있습니다. 믿을 만한 VPN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자신만의 기준을 마련하고, 이 기준에 따라 신뢰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되는 VPN을 사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