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 진보네트워크센터
  • 사례로 보는 정보인권
  • 정보인권의 이해
  • 미래 신기술과 정보인권
  • 디지털 노동감시 대응 가이드
  • 후원하기

디지털 보안 가이드

내용으로 건너뛰기 메뉴
  • 디지털 보안에 대한 이해
    • 디지털 보안 가이드를 위한 가이드
    • 위협 모델링
    • 디지털 보안에 대한 7가지 단계
    • 나에게 맞는 보안 수단 선택
    • 활동가 및 시민단체를 위한 디지털 보안 시나리오
  • 컴퓨터 보안
    • 강력한 비밀번호 생성하기
    • KeePassXC 사용법
    • 어떻게 멀웨어(악성 소프트웨어)로부터 보호할 것인가?
    •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 윈도 기기 암호화 – DiskCryptor 사용법
    • 데이터의 안전한 보호 및 삭제
    • 데이터 안전 삭제 프로그램 – BleachBit
    • 스파이웨어 탐지 프로그램 디텍트(DETEKT) 사용법
  • 통신 보안
    • 종단간 암호화와 안전한 통신
    • 암호화란 무엇인가?
    • 공개키 암호화와 PGP에 대한 소개
    • 보안 메신저 – OTR+Pidgin
    • 이메일 보안 – PGP (윈도)
    • 소셜 네트워크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 페이스북 보안 설정
    • 온라인 검열을 우회하는 방법
    • 윈도에서 토르(Tor) 사용하기
  • 휴대전화 보안
    • 휴대전화와 관련된 보안 이슈
    • 기본적인 안드로이드 보안 설정
    • 아이폰을 암호화하는 방법
    • 휴대전화 데이터의 안전한 삭제
    • StrongBox 사용법 (아이폰)
    • 보안 메신저 Signal 사용법(아이폰)
    • ChatSecure 설치 및 사용법
    • KeePassDroid 사용법(안드로이드)
  • 블로그

디지털 보안에 대한 이해

:10년 전

이 글 공유하기:

  • 페이스북에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 트위터로 공유하기 (새 창에서 열림)
  • 포켓에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본 사이트의 내용은 정보공유라이선스 2.0:허용'을 따릅니다.
Make: A WordPress template by The Theme Foundry
  • Facebook
  • Twitter
  • RSS
후원: